15 min read

커뮤니티 마케팅_소속감을 디자인하라

마크 W. 세퍼는 커뮤니티 마케팅 Belong to the Brand 에서 소속감을 디자인하라고 말한다. 이제 더 이상의 마케팅 기법은 유효하지 않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이제 어떤 전통적인 또는 새로운 광고 기법도 통하지 않는다. 실제 브랜드는 커뮤니티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그렇다면 브랜드 경험 기획자들은 이 커뮤니티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인가?
커뮤니티 마케팅_소속감을 디자인하라
Photo by Etienne Girardet / Unsplash

마크 W. 셰퍼(Mark W. Schaefer)의 『커뮤니티 마케팅: 소속감을 디자인하라』는 현대 마케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커뮤니티'를 제시하며, 브랜드와 고객 간의 깊은 정서적 유대를 구축하는 전략을 탐구한다. 이 책은 단순한 마케팅 기법을 넘어, 인간 본연의 '소속감' 욕구를 충족시키는 커뮤니티의 힘을 강조한다.


📘 핵심 요약: 커뮤니티는 마케팅의 마지막 위대한 전략

1. 커뮤니티가 필요한 이유: 세 가지 메가트렌드의 교차

마크 셰퍼는 커뮤니티가 마케팅의 미래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로 다음 세 가지 메가트렌드의 교차를 제시한다:

  • 전통적 마케팅의 쇠퇴: 광고 차단, 정보 과잉, 소비자의 무관심 등으로 기존 마케팅 방식의 효과가 감소하고 있다.
  • 정신 건강 위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외로움과 고립감이 증가하며, 사람들은 소속감을 갈망한다.
  • 커뮤니티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발전: 웹 3.0, 메타버스, NFT 등 새로운 기술들이 커뮤니티 형성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브랜드가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고객과의 깊은 정서적 연결을 통해 지속 가능한 관계를 구축해야 함을 시사한다.

2. 커뮤니티와 브랜드의 관계: 감정적 유대의 형성

셰퍼는 커뮤니티를 단순한 고객 서비스 채널이 아닌, 브랜드와 고객 간의 감정적 유대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본다. 고객들이 커뮤니티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브랜드와의 관계를 강화하며, 이는 브랜드 충성도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룰루레몬은 매장 내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고객과의 깊은 유대를 형성하고 있다.

3. 커뮤니티 구축의 핵심 요소: 목적과 문화

성공적인 커뮤니티 구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중요하다:

  • 명확한 목적의식: 커뮤니티의 존재 이유와 목표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 공동 창조와 참여: 회원들이 콘텐츠 생성과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 긍정적인 문화 형성: 포용적이고 긍정적인 커뮤니티 문화를 조성하여 회원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커뮤니티가 자생적으로 성장하고, 브랜드와의 깊은 연결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4. 커뮤니티의 비즈니스적 가치: 측정과 성과

커뮤니티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참여율 외에도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고려해야 한다:

  • 브랜드 충성도: 커뮤니티 활동이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로 이어지는지 평가.
  • 고객 생애 가치: 커뮤니티 참여 고객의 장기적인 가치와 기여도를 분석.
  • 공동 창조의 성과: 고객과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공 여부를 평가.

이러한 지표들은 커뮤니티가 단순한 마케팅 도구를 넘어, 브랜드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기여하는 전략적 자산임을 보여준다.

이어서......

This post is for subscribers only